📚이번 주 Trend Topic 정리📚
1. 원자력연구원, 원자력 특화 거대언어모델 공개
2. 금융위, 내년 상반기 'AI 플랫폼' 구축
3. 韓 AI 수준 2군 분류... "한국은 안정적 경쟁국"
4. MS가 공개한 2025년 'AI 트렌드' |
|
|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따라 신산업이 등장하고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어요. 이에 따라 새로운 기술에 대한 고객과 시장의 니즈는 더욱 다양해짐과 동시에 고도화되고 있는데요. 이에 기업들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주기를 줄이고 혁신 기술을 확보하고자 치열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어요.
이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기존 업무 환경의 한계점을 직시하고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에요. 그동안 많은 R&D 연구소에서는 부서별로 각자 필요한 연구 개발 환경을 직접 구축하고 리소스를 관리하는 등, 연구원 개인이 연구 외에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 많았어요. 또한 부서 간 협업이 늘어감에 따라 새로운 이슈들도 계속적으로 생겨나고 있죠.
이와 같은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모든 인프라를 통합하여 일관된 환경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원의 편의성을 높이고, 관리의 체계를 더욱 효율화하는 것이에요.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R&D 환경의 한계점과 통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확인해 보세요!
|
|
|
Trend Topic
원자력연구원, 원자력 특화 거대언어모델 공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원자력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 'AtomicGPT'를 개발하여 커다란 화제가 되고 있어요. 해당 모델은 80억 개, 700억 개 파라미터 규모를 갖는 두 가지 버전이 있고, 전세계 언어모델이 공유되는 허깅페이스(Huggingface)에 온라인으로 공개됐는데요.
원자력 분야는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지 않거나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많아서 일반적인 ChatGPT를 활용한 검색은 그 한계가 명확했어요. 특히 원자력산업은 보안이 중요한데, ChatGPT와 같은 상용 AI 모델은 보안에 취약할 수 있어서 사용이 어려웠어요. 이에 해당 모델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요.
한국 원자력연구원은 AtomicGPT를 문서 업무 활용에 그치지 않고, 원전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원자로 AI 운전원'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에요.
▶ 원자력연구원, 원자력 특화 거대언어모델 'AtomicGPT' 공개
|
|
|
금융위원회가 '금융권 AI 협의회'를 개최하고 금융권 AI 활용 인프라, 금융권 특화 데이터 지원, 금융 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 등 금융회사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 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밝혔어요. 금융당국은 금융권 오픈소스 인공지능(AI) 활용을 통합 지원하는 '금융권 AI 플랫폼'을 내년 상반기까지 구축할 예정인데요.
이를 통해 현재 국내의 금융회사들이 망 분리와 자체 보안 규정 등으로 AI 서비스 개발을 위한 오픈소스 AI모델, 데이터 등을 내려받아 내부망에 설치하는 제약의 해결을 도모해요. 또한 금융분야 AI 학습 등을 위한 금융권 특화 데이터 또한 구축할 예정이에요.
|
|
|
韓 AI 수준 2군 분류... "한국은 안정적 경쟁국"💥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73개국을 대상으로 평가한' AI 성숙도 매트릭스'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우리나라가 AI 기술 성숙도와 잠재력 수준에서 상위 5개국에 들지 못하고 2군으로 분류되었어요. 상위 5개 국가는 캐나다, 중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알파벳 순)으로 'AI 선도국가'로 분류되며 보고서는 "이들 5개국만이 AI에 대한 높은 수준의 준비 상태를 보였다"고 평가했어요.
다음 단계인 'AI 안정적 경쟁국가'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호주,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말레이시아, 스페인, 대만 등이 포함되었는데요. 보고서는 전 세계 AI 관련 지출 규모가 2028년까지 약 84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AI 경쟁국가의 전략으로 "틈새시장이나 전문화된 시장에서 지분을 확대할 것"을 제시했어요.
|
|
|
MS가 공개한 2025년 'AI 트렌드'🎈
마이크로소프트(MS)가 2025년 주목해야 할 인공지능(AI) 트렌드 6가지를 공개하며, AI가 이끌어갈 혁신과 과제에 대한 주요 인사이트를 제시했어요. MS는 2025년이 AI가 일상과 업무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더 유용하고 유능해질 AI 모델 △업무 형태를 변화시킬 AI 에이전트의 활약 △모든 일상을 지원하는 AI 역할 확장 △지속 가능한 AI 인프라 구축 필요성 증대 △테스트와 맞춤화를 통한 책임 있는 AI 구축 △과학적 혁신을 가속화하는 AI가 6가지 트렌드에 해당해요. MS는 AI의 성능 향상에 힘입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해요.
▶ MS, 2025년 주목해야 할 '6가지 AI 트렌드' 공개
|
|
|
Clunixmktg@clunix.com | 02-3486-5896(0302) 서울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 하이테크시티 1동 1206-07호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