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가트너가 전 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 전망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주 한국 IDC가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전망이 담긴 보고서를 발간했어요. 기업의 디지털 현대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클라우드의 도입 현황, 성장 요인과 저해 요인 등을 분석해 향후 5년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동향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고 해요.👏
이외에도 일주일간 있었던 클라우드와 인공지능 등의 소식을 전해드릴게요!👍
💌클루닉스 소식함💌
클루닉스의 아렌티어 클라우드가
아마존웹서비스(AWS)의'파트너 소프트웨어 패스(Partner Paths)'를 획득했어요.🎉
아렌티어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 우수성과 안전성, 운영 우수성 등을 검증받아 'AWS 인증 소프트웨어(AWS Qualified Software)' 배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한국IDC가 29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퍼블릭 클라우드 관련 시장은 전년비 17.8% 늘어난 3조226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요. 이 시장은 5년간 15.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6년에는 5조1010억원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는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AI 및 자동화, 플랫폼 영역에서 주요한 성장세를 보였다고.
금리 인상 국면에서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냉각된 와중에도 클라우드 시장은 분위기가 뜨거워요. 산업 전망이 밝고 성장 잠재력이 커서 굵직한 사모투자펀드(PEF)들이 군침을 흘리고 있다는데요.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T클라우드와 NHN클라우드는 현재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 IPO) 성격의 투자 유치를 진행 중이라고 해요.
정부가 추진 중인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개편이 무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요. CSAP에 대한 논의는 지난 6월 시작되어, 8월에는 정부가 개편안을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과기정통부 측은 국내 여론을 이유로 개편안 추진에 대해 한발 물러선 것으로 알려졌다고.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자체 설계한 반도체 프로세서로 구동되는 가상서버 신상품 3종을 선보였어요. 고성능컴퓨팅(HPC) 워크로드용 가상 서버 상품인 'Hpc7g', 네트워크 집약적 애플리케이션인 'C7gn', 머신러닝 추론 연산에 특화한 'Inf2' 등, 새로운 세 가지 아마존 EC2 인스턴스를 공개하고 이들이 더 낮은 비용으로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고 밝혔어요.
SK텔레콤이 AI 컴퍼니 도약을 위한 2023년 조직 개편 및 임원인사를 단행했어요. AI 컴퍼니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3대 전략 추진 체계를 구축하고, SKT 유영상 CEO가 SK브로드밴드 대표를 겸직해 SKT와 SKB간 시너지 창출에 나선다고. 또한 C레벨 조직(CSO, CFO, CDO 등)은 CEO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비전 달성에 집중한다고 해요.
2000년에 설립한 브레인즈컴퍼니는 2021년 기준 공공분야 관제 소프트웨어 점유율(24.06%) 1위 기업이에요. 이번 인수는 브레인즈컴퍼니의 기존 사업에 에이프리카의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기술을 더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환경에서 사업적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라고.
클루닉스의 RNTier는 다양한 R&D 업무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요. 그 중에서도 RNTier CAP는 시뮬레이션 작업을 HPC 시스템을 통해 고속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구성원 누구든 웹 기반에서 쾌적한 HPC 서비스 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CAP의 소개서를 받아보세요!